- 원제: Kara Kitap
- 출판 연도: 1990년
- 작가: 오르한 파묵 (Orhan Pamuk)
- 장르: 미스터리, 메타픽션, 철학적 소설
- 주요 주제:
- 정체성과 자아 탐구
- 이스탄불이라는 도시의 역사와 미스터리
- 글쓰기와 이야기가 가진 힘
- 줄거리 요약:
주인공 갈립은 어느 날 갑자기 사라진 아내, 뤼야를 찾기 위해 이스탄불 곳곳을 헤매며 탐정 같은 여정을 시작한다. 그는 뤼야와 함께 사라진 그녀의 사촌이자 칼럼니스트 제랄의 글과 단서를 통해 그녀의 행방을 찾으려 한다. 갈립의 탐색은 단순한 실종 사건을 넘어 그의 내면과 이스탄불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여정으로 확대된다.
오르한 파묵의 《검은 책》은 그저 실종 미스터리가 아니라, 실종의 미로를 통해 진짜 나를 찾는 이야기야. 소설은 갈립의 아내 뤼야와 그녀의 사촌 제랄이 각각 사라지면서 시작돼. 처음에는 뤼야와 제랄의 행방을 추적하는 듯하지만, 갈립은 점차 그들의 실종이 단지 사건에 불과하지 않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고, 오히려 스스로를 더 이해하려는 여정에 발을 들이게 돼.
"자기 자신이 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다른 사람이 되는 것,
혹은 다른 사람의 이야기 속으로 사라지는 것이다."
이스탄불 거리랑 골목, 오래된 건물들은 갈립을 마치 자기 안쪽 깊은 곳으로 데려다주는 통로 같았어. 그는 여기저기에서 멈춰 서서 생각에 잠기곤 했지. 뭔가를 찾아보려 애쓰는 게 꼭 과거의 흔적 때문만은 아니었어. 오히려 자기 존재를 묻는, 완성되지 않은 퍼즐 조각 같은 느낌이랄까.
이스탄불은 낮과 밤의 모습이 완전히 달라서 마치 다른 도시처럼 느껴지기도 해. 낮에는 진짜 바쁘고 활기차. 시장의 떠들썩함, 커피 냄새, 사람들 목소리가 온 도시를 채우거든. 그런데 밤이 되면 도시가 갑자기 숨을 고르는 것처럼 변해. 저녁 늦게 골목길을 걸으면 도시가 내는 고요한 숨소리가 들리는데, 그 속에서 갈립은 어쩔 수 없이 자기 자신과 더 깊이 마주하게 되지.
공간이 강조된 느낌은 마치 W.G. 제발트의 《아우슈터리츠》 같았어. 공간을 통해 기억을 복원하는 구조가 비슷한 면도 있지만, 파묵은 《검은 책》 에서 색감을 정말 탁월하게 활용했기 때문에 지루할 틈이 없더라구. 파묵은 색을 단순히 시각적 장치로 사용한 게 아니라 정체성, 기억, 진실을 드러내는 상징적 언어로 썼어. 검은색과 빛, 그리고 다른 색들이 만들어내는 대비는 이야기와 감정을 겹겹이 쌓아 올려서 읽는 내내 끝없이 깊어지는 느낌을 주더라고.
보스포루스 해협에서 불어오는 바람, 갈립의 발밑에서 흔들리는 불빛—이 모든 게 마치 "어디로 가야 할까?"라는 질문을 계속 던지는 것 같았어. 골목마다 얽힌 사람들의 이야기가 그의 주변을 스치고 흩어지는데, 그 순간들이 모두 각자의 흔적을 남기는 게 느껴졌지. 그 흔적 속에 섞인 갈립은 마치 자신도 그 수많은 이야기의 일부로 흡수되어 가는 기분이었을 거야. 이야기가 단순히 진행되는 게 아니라, 도시의 공기처럼 서사를 천천히 스며들게 한다는 점이 진짜 인상적이었어.
제랄의 글은 또 다른 《검은 책》 같았어. 갈립은 그의 칼럼에서 실마리를 찾으려 하지만, 점점 더 혼란스러워져. 제랄의 글은 현실과 꿈 사이에서 갈립을 미궁 속으로 이끌어. 그 미궁 속에서 갈립은 자신도 모르게 내면 깊숙한 곳으로 들어가고 있었어. 사실 《검은 책》 의 ‘검은색’은 우리가 한눈에 다 알 수 없는, 미지의 영역을 상징하는 것 같아. 갈립의 여정도 마찬가지야. 그는 뤼야와 제랄을 쫓고 있지만, 결국 찾아가는 건 자기 자신이었어. 그들은 단지 시작일 뿐, 갈립의 진짜 여행은 자신을 향한 탐구였지.
너는 어때? 너는 진짜 너의 삶을 살고 있어?
아니면 누군가의 이야기를 좇다가 정작 스스로를 잃어가고 있진 않아?

'Maggie's Boo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ruyama Kenji] 물의 가족 : 물결에 스며든 기억 (2) | 2025.01.31 |
---|---|
[김지연] 등을 쓰다듬는 사람 : 예술을 대하는 진심, 그림의 등을 쓰다듬다 (4) | 2025.01.11 |
[James Baldwin] 조반니의 방 : 경계에 선 사랑, 어쩌면 당신의 이야기 (6) | 2024.11.30 |
[Franz Kafka] 변신 : 얼어붙은 바다를 깨는 도끼 (8) | 2024.11.27 |
[Peter Handke] 소망 없는 불행 : 고통에 얼굴이 있다면 (0)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