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짝 구분하기
프로그래머스
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
programmers.co.kr
나의 코드
간단하지만, Swift의 기본 기능(입력 받기, 조건문, 문자열 보간 등)을 잘 활용한 좋은 예제야.. 😊
let a = Int(readLine()!)!
let resultString = a % 2 == 0 ? "\(a) is even" : "\(a) is odd"
print(resultString)
코드 설명
let a = Int(readLine()!)!
여기서부터 중요한데, 이게 하는 일이 뭐냐면:
- **readLine()**은 콘솔에서 입력받은 값을 **문자열(String)**로 가져와.
- 예를 들어, 네가 5라고 입력하면 사실 "5"라는 글자로 받아오는 거지.
- 근데 우리는 숫자로 계산하려니까 **Int()**를 써서 이 문자열을 숫자로 바꾸는 거야.
- 뒤에 **!**가 두 개 붙었지? 이건 '야, 이거 절대 nil 아니야!' 하고 강제로 값을 꺼내는 거야.
- 근데 조심해야 돼. 여기서 만약 네가 이상한 거(예: "abc")를 입력하면 앱이 뻗어버릴 수도 있어!
-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숫자가 변수 a에 저장돼.
예를 들어, 네가 8을 입력했으면 a에는 8이라는 숫자가 들어가게 돼.
let resultString = a % 2 == 0 ? "\(a) is even" : "\(a) is odd"
여긴 이제 핵심 로직이야. 이 한 줄이 진짜 멋진 거거든.
- a % 2 == 0:
- 이게 뭐냐면, 숫자 a를 2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0인지 확인하는 거야. 나머지가 0이면 짝수라는 뜻이지.
- ?와 ::
- 이건 삼항 연산자라는 건데, 간단히 말하면 이렇게 생각하면 돼:
코드 복사조건 ? 조건이 참이면 실행할 값 : 조건이 거짓이면 실행할 값
- 그래서 여기서 조건이 a % 2 == 0이면:
- 참일 때: "\(a) is even"
- 거짓일 때: "\(a) is odd"
- 이건 삼항 연산자라는 건데, 간단히 말하면 이렇게 생각하면 돼:
- "\(a)":
- 문자열 보간이라고 하는데, 그냥 쉽게 말하면 문자열 안에 a 값을 넣는 거야.
- 예를 들어, a가 8이면 "\(a) is even"은 "8 is even"이 되는 거지.
결과적으로, 이 줄이 짝수면 "짝수입니다", 홀수면 "홀수입니다"라는 문장을 만들어주는 역할을 해.
print(resultString)
마지막으로, 위에서 만든 결과 문자열을 콘솔에 출력하는 거야.
네가 7을 입력했다고 하면 resultString에 "7 is odd"가 들어가고, 이걸 출력해서 결과가 이렇게 나오는 거지:
7 is odd
엄청 간단하지? 네가 입력한 숫자가 짝수인지 홀수인지 바로 알려주는 프로그램이야! 😎
'iOS 앱 개발자 프로젝트 > 알고리즘 코드카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gorithm] 2024 회고 : 나의 잔디구장 (4) | 2024.12.22 |
---|---|
[Algorithm] A 강조하기 (w/ Swift) (1) | 2024.12.19 |
[Algorithm] 문자열 붙여서 출력하기 (w/ Swift) (0) | 2024.12.03 |
[Algorithm] 문자열 반복해서 출력하기 (w/ Swift) (0) | 2024.12.02 |
[Algorithm] 대소문자 바꿔서 출력하기 (w/ Swift) (0) | 2024.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