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3월 7일 목요일
- swift 기본 개념 중, 조건문과 반복문에 대해 명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오늘의 목표!
- switch문은 여러 잠재적 케이스에 대응하기 위해 if 문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 while문은 종결 조건을 정해주지 않으면 무한루프가 생길 위험성이 있습니다.
1. 조건문
01. if문
02. swich문
2. 반복문
01. for문
02. while문
1. 조건문
1-01. if문
- 조건을 확인하는 문법으로 if 문에 작성한 조건이 true인 경우에만 구현부 코드를 실행한다.
// if 뒤 "조건"은 Bool 타입 즉 true 혹은 false 이어야 합니다
if <#조건#> {
// 구현부 코드
}
var temperature = 17
if temperature <= 13 {
print("쌀쌀한 날씨가 지속되겠습니다.")
} else if temperature >= 22 {
print("해가 떠오르는 낮부터는 더위 예상됩니다.")
} else {
print("밤낮으로 선선한 날씨가 예상됩니다.")
}
// 출력값: 밤낮으로 선선한 날씨가 예상됩니다.
if true {
print("항상 실행됩니다")
}
// 출력값: 항상 실행됩니다
if false {
print("항상 실행됩니다")
}
// 출력값: (없음) - if 뒤 조건문이 false이므로 중괄호 내부 코드가 실행되지 않음
1-02. swich문
- switch 문은 가능한 여러 개의 일치하는 케이스와 값을 비교한 다음 일치하는 첫 번째 케이스를 기반으로 구현부 코드 블록을 실행한다
- switch 문은 여러 잠재적 케이스에 대응하기 위해 if 문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 열거형(enum)과 함께 자주 사용된다.
- 모든 케이스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default 에 구현된 코드가 실행되며, default는 항상 마지막에 표시되어야 한다.
- 특정 케이스에 실행 구문이 없을 경우 break 키워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한다.
- 특정 케이스에 해당되어 실행 구문이 실행된 이후에 다음 케이스 블럭을 실행하려면 fallthrough 키워드를 사용한다.
if <#조건#> {
// 구현부 코드
}
switch <#조건#> {
case <#값 1#>:
// 구현부 코드
case <#값 2#>,
<#값 3#>:
// 구현부 코드
default:
// 모든 케이스가 적용되지 않는 경우
// 구현부 코드
}
let cookieCount = 62
let message: String
switch cookieCount {
case 0:
message = "🍪 없음 🙅♂️"
case 1..<5:
message = "🍪 아주 조금 있음"
case 5..<12:
message = "🍪 조금 있음"
case 12..<100:
message = "🍪 꽤 있음 🍪"
case 100..<1000:
message = "🍪🍪 많음 🍪🍪"
default:
message = "🍪🍪🍪엄청 많음🍪🍪🍪"
}
print(message)
// 출력값: "🍪 꽤 있음 🍪"
let species = "시츄"
switch species {
case "말티즈" :
print("말티즈입니다")
case "시츄":
break // 실행 구문이 없을때는 반드시 break를 써주어야 함
default:
print("강아지입니다")
}
var number = 5
switch number {
case ..<5:
print("under 5")
fallthrough
case 5:
print("5")
fallthrough // 해당 케이스의 구문이 실행된 이후에도 무조건 다음블럭을 실행함
default:
print("default")
}
// 출력 결과
// 5
// default
// default를 사용하지 않는 예시
enum Day {
case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sday, friday, saturday, sunday
}
func activities(for day: Day) {
switch day {
case .monday:
print("월요일: 회사 회의")
case .tuesday:
print("화요일: 운동 가기")
case .wednesday:
print("수요일: 책 읽기")
case .thursday:
print("목요일: 친구와 만나기")
case .friday:
print("금요일: 영화 보기")
case .saturday:
print("토요일: 쇼핑하기")
case .sunday:
print("일요일: 가족과 시간 보내기")
}
}
activities(for: .monday)
activities(for: .friday)
2. 반복문
2-01. for문 (for - in 반복문)
- for문은 순회할 수 있는 타입(배열, 딕셔너리 등)을 순회하거나 특정 횟수만큼 로직을 반복할 때 주로 사용한다.
for 각 value의 변수 이름 in 순회할 수 있는 타입 {
// 내부 로직
}
let alphabets: [String] = ["a", "b", "c", "d"]
for character in alphabet {
print(character)
}
// 출력값:
// a
// b
// c
// d
let students = ["Tom": 2, "Harry": 4, "Sarah": 1]
for (name, grade) in students {
print("\(name) 은 \(grade) 학년이야")
}
// 출력값:
// Tom 은 2 학년이야
// Harry 은 4 학년이야
// Sarah 은 1 학년이야
2-02. while문
- while문은 특정 조건이 만족하는 동안 내부로직을 계속해서 실행한다.
- 종결 조건을 정해주지 않으면 무한루프가 생길 위험성이 있다.
- while문은 반복문의 각 패스가 시작할 때 조건을 평가한다.
// while 뒤의 "조건"은 Bool 타입, 즉 true 혹은 false이고, true일때 중괄호 내부 코드 실행
while <#조건#> {
// 구현 코드
}
let lastName : [String] = ["송", "김", "박", "정" ]
var index : Int = 0
while index < 4 {
print("옆집 \(lastName[index]) 씨네 \(index)번째 결혼식")
index += 1
}
// 출력값:
// 옆집 송 씨네 0번째 결혼식
// 옆집 김 씨네 1번째 결혼식
// 옆집 박 씨네 2번째 결혼식
// 옆집 정 씨네 3번째 결혼식
while true {
print("Hello") // Hello 가 계속 출력됨
}
'iOS 앱 개발자 프로젝트 > Swift 문법 정복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wift] array, set, dictionary and OOP (1) | 2024.03.10 |
---|---|
[Swift] queue & stack (0) | 2024.03.10 |
[Swift] optional & nil (0) | 2024.03.08 |
[Swift] Data Types and Operators (2) | 2024.03.06 |
[Swift] Property, Print and Function (0) | 2024.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