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저장소를 로컬 PC에 만들거나 원격으로 가져와 봅니다.
★ Git Repository
option1) Git 저장소 새로 만들기
option2) 기존 저장소를 clone 하기
Git Repository
- 'git이 관리하는 저장소'로 파일이 변경 이력 별로 구분되어 저장되며 다양한 git의 관리 기능이 지원된다.
▦ Git Repository 종류
1) 원격(Remote) Repository
- 파일이 원격 저장소 전용 서버에 관리되며 여러 사람이 함께 공유하기 위한 저장소
(내가 클론해서 가져오는 협업 프로젝트 원본 파일의 저장소)
▼. 기존 저장소를 Clone 하기 (= 다른 프로젝트 가져와 Git 저장소 만들기) : $git clone <url>
- 다른 프로젝트에 참여하려거나(Contribute) Git 저장소를 복사하고 싶은 경우
- 이렇게 생성된 경우, 'git 저장소로 만들 내 PC의 로컬 디렉토리'가 '로컬 저장소(Local Repository)'이고,
<url>에 존재하는 원격 프로젝트'가 원격 저장소(Remote Repository) 이다.
step 1] git 저장소로 만들 로컬 디렉토리 경로로 이동
$ cd /c/user/my_project
step 2] git clone <url> 명령을 실행
$ git clone <url>
→ <url> 경로 마지막 디렉토리명으로 로컬에 디렉토리 생성하고, 그 안에 `.git 디렉토리'와
저장소의 데이터(clone 입력 시점 가장 최신 버전)를 모두 가져온다.
( = git의 'clone'을 해 놓는다. = snv의 'checkout'을 해 놓는다.)
→ <url>의 지원 프로토콜 : https://, git://, SSH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
※ 별도디렉토리에 clone하고 싶을 때 : $ git clone <url> <별도디렉토리명>
→ <별도 디렉토리명> 디렉토리 생성하고, 그 안에 위와 같이 저장소 checkout해서 가져온다.
2) 로컬(Local) Repository
- 내 PC에 파일이 저장되는 개인 전용 로컬의 git 저장소 (내 PC에 위치한 git 설정 디렉토리)
(내가 'git 저장소를 생성' 또는 '원격 저장소를 클론해 와서 수정할 내 PC에 위치하는 git 저장소'
※ 로컬 저장소에서 작업을 하다가 작업 내용을 공개할 때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로컬 >> 원격)
※ 원격 저장소에서 다른 사람이 작업한 파일을 로컬 저장소로 이동 (원격 >> 로컬)
▼ 내 로컬 환경의 디렉토리를 Git Repository로 만들기
step 1] git 저장소로 만들 로컬 디렉토리 경로로 이동
$ cd /c/user/my_project
step 2] git init 명령을 실행
$ git init
→ 명령어 실행 시 해당 경로에 '.git' 이라는 하위 디렉토리가 만들어진다.
※ '.git 디렉토리' : 저장소에 필요한 뼈대 파일(Skeleton)들을 포함한 디렉토리
→ 이 명령만으로는 아직 프로젝트의 어떤 파일도 관리하지 않는다.
step 3] git이 파일을 관리하게 하려면,
우선 저장소에 파일을 추가(git add 명령)한 후, 커밋(git commit 명령) 한다.
$ git add 명령으로 파일을 추가
$ git commit 명령으로 커
'GitHub 제대로 활용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Git branch 다루기 (+ 명령어) (0) | 2024.03.12 |
---|---|
[GitHub] .gitignore, README (0) | 2024.03.10 |
[GitHub] Flow of collaboration - Basic (0) | 2024.03.08 |
[GitHub] How to collaborate (0) | 2024.03.08 |
[GitHub] Basic : Git & Github (1) (0) | 2024.03.07 |